호남300산 283차 광양 백계산(白鷄山)
산행하기 딱좋은 겨울날씨
동백꽃이 절정인 3월말에 와야겠어요
백계산(505m)은 도솔봉 남쪽에 있는 작은 산으로, 그 형세가 지네가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모습 또는 닭이 알을 품고 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였다. 산머리에 바위가 있고, 바위 위에 샘이 있으며, 샘 밑에서 흰 구름이 때로 일어난다. 옥룡사는 폐사되어 옥룡사지만 있지만 도선국사가 심었다는 동백나무 숲(전라남도 천연기념물)은 지금도 아름답기 이를 데 없다.
또한, 백운산의 과거 이름은 닭 계(鷄) 자를 써서 백계산(白鷄山)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흰 닭산’이라는 뜻이 된다. 백계산 정상에는 바위들이 돌출되어 있고, 현지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이 산 정상의 바위들을 닭의 벼슬 형태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백계산을 커다란 닭으로 보았을 경우에 닭발은 어디에 있나? 닭은 발에 힘이 실린다. 닭발로 땅을 헤집으면서 먹이를 찾는다. 닭발은 두 군데에 있다. 계족산(鷄足山)이라는 이름이다. 구례군 문척면에 계족산이 하나 있고 다른 하나는 광양시 봉강면에 있다. 두 군데에 계족산이 포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 두 군데 계족산은 모두 백계산에서 뻗어 나간 자락에 해당한다.

백계산 정상

백계산에 서서

백계산 산행지도

옥룡사지 주차장을 들머리로

천년의 숨결이 살아있는 백계산이라 합니다.

겨울날의 동백나무숲길(개화시기가 3~4월이라 합니다)

봄날의 이 길은 꽤 매력적일것 같습니다.

광양9경중 7경에 속하는 옥룡사지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489호) (펌). 이 숲은 2006년에 산림청이 주관한 아름다운 천년의 숲 분야에서 우수상을 받았다. 동백꽃의 꽃말은 "그대를 누구보다 사랑합니다"이다.

옥룡사지 입구 당산나무같은 고목이

옥룡사지터 입니다.

절터에는 큰 연못이었는데, 9마리 용이 살면서 사람들을 괴롭혀서, 용들을 도선국사가 몰아냈지만 유독 백룡이 말을 듣지 않자 지팡이로 용의 눈을 멀게하고 연못의 물을 끓게하여 쫓아낸 후 숯으로 절터를 닦아 세웠다는 전설이 있음

백계산 선각국사 참선 둘레길을 따라갈 요량입니다.

선각국사 도선의 사리탑. 옥룡사는 도선이 35년간 머물며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이곳에서 입적 한 곳이라고 합니다.

우물터에서 약수한잔 얻어 마시고

100년이상된 동백나무 약 7,000여주 정도가 심어져 있다. 동백이 2~4월까지 핀다는데 3월말이 절정이라고 해설사님이 알려줍니다.

크게 높지는 않지만 산행하기 좋은 코스들입니다

편안한 산행길

2주전에 다녀왔던 노랭이봉 억불봉의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인간의 소행인듯

백계산에 서서 아니 앉아서 인증컷

백운산은 이미 설산. 흰구름은 이미 눈이되어 내린 듯

북쪽사면은 겨울모드. 아무도 가지 않았어요

눈밝이샘에서 물한잔 마시고 (눈이밝아졌겠지...) 눈밝이샘의 유래는 이렇했다. '선각국사 도선'이 백계산에 옥룡사를 짓고자 했을 때, 백계산 자체는 굉장히 명당이었지만 절을 짓고자 하는 터에 큰 연못이 있어 꽤나 당혹스러워했다고 합니다. 아마도 연못을 매꾸기 위한 지혜였을까요? 도선이 그 연못에 숯을 넣고 이곳 샘물을 마시면 눈병이 낫는다는 소문을 내자 전국각지에서 환자들이 찾아와 숯을 넣고, 샘물을 마시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신기하게도 정말 사람들의 눈병이 완쾌되어 그 때부터 눈병이 고쳐지는 샘, '눈밝이샘'이라고 불렸다 전해진다 합니다.

세우암자(細雨庵子)는 도선(道詵)국사께[서 어머니를 모셨다는 암자이다. 세우암자가 있던 이 터는 세우혈지(細雨穴地)가 있어 세우암골로 전해져 왔으며, 세우암자는 1878년 옥룡사가 소실될 당시 옥룡사와 함께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 비석이 있었는데 비신(碑身)은 갓머리속에 “도선비기”가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없어지고 현재는 비대석만 남아 있다고 한다.

암자엔 멧돌같은 석물도 보입니다

산짐승들이 많아 그물과 전기울타리들이 많이 보입니다

표고버섯인듯

사당인 듯한 건물옆을 지나고

계곡엔 건널다리도 있고

우리나라 최대의 규모의 황동약사여래상(높이 30m)이 있는 운암사가 유명합니다.
'2023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1 광양 억불봉 / 2023.1.14. / 산타나 산행이야기 (0) | 2023.12.24 |
---|---|
282. 완주 위봉산 / 2023.1.24. / 산타나 산행이야기 (0) | 2023.12.24 |
284. 고흥 운암산 / 2023.2.19. / 산타나 산행이야기 (1) | 2023.12.21 |
285. 여수 금오도 매봉산(대부산) 2023.3.4. / 산타나 산행이야기 (0) | 2023.12.20 |
286. 장수 신무산 / 2023.3.12. / 산타나 산행이야기 (0) | 2023.12.18 |